본문 바로가기
가상화폐_암호화폐_디지털화폐

무비블록(MBL)코인에 대해 알아보자

by Θ┌Θ?ⓣⓗ㈜ 2021. 6. 2.
반응형

무비블록(MBL)코인에 대해 알아보자

무비블록(MovieBloc)은 블록체인 기반의 참여자 중심 영화 배급 플랫폼이다. 코넥스 상장 회사인 ㈜판도라TV의 영화 사업 부문으로 시작되었다. 대표는 강연경이다. 무비블록은 창작자에게는 투명한 수익 내역, 시청자 데이터, 그리고 공평한 상영의 기회를, 관객에게는 다양한 영화 및 콘텐츠를 제공하며 무비블록 생태계에 기여하는 큐레이션, 자막, 홍보에 대한 보상을 제공한다. 무비블록은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하며 무비블록 플랫폼의 암호화폐인 무비블록토큰(MBL)은 여러 번의 코박라이브를 거친 후 게이트아이오에 최초 상장했다가 화려하게 업비트, 빗썸, 온트레이드, MXC, 비키거래소에 이어 동남아 1위 거래소인 인도닥스에도 상장되었다. 2020년 2월 초 기준으로 무비블록의 시가총액은 95억 원이다. 2020년 2월 18일 무비블록은 한국의 암호화폐 커뮤니티인 코박을 인수했다

 

무비블록토큰

무비블록토큰(MBL)은 무비블록 생태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제 활동의 주요 매개체로 활용된다. 무비블록토큰(MBL)은 여러 번의 코박라이브를 거친 후 게이트아이오에 최초 상장했다가 화려하게 업비트, 빗썸, 온트레이드, MXC, 비키거래소에 이어 동남아 1위 거래소인 인도닥스에도 상장되었다. 2020년 2월 초 기준으로 무비블록의 시가총액은 95억 원이다.

유료 콘텐츠 시청 무비블록 내에 유료 콘텐츠 결제는 무비블록토큰을 통해 이루어진다. 결제된 무비블록토큰은 스마트계약을 통해 창작자와 큐레이터 등 해당 콘텐츠 제작 및 유통에 기여한 참여자에게 분배된다.
번역, 디자인 등 2차 창작물 거래 번역, 디자인 마켓 등 콘텐츠의 유통을 위한 2차 콘텐츠를 의뢰하는 과정에서 창작자, 큐레이터와 번역가, 디자이너 간의 재능 거래를 위해 무비블록토큰이 활용된다.
창작자 후원 및 영화 제작 참여 창작자 후원은 큐레이터의 후원과 참여자의 후원으로 나뉜다. 큐레이터의 후원은 영화 제작 전, 창작자가 공개한 시나리오를 검토하여 후원하게 된다. 후원금에 따라 큐레이터는 영화의 정식 개봉 전 자신의 상영관을 통해 일정 기간 영화를 선 개봉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된다. 참여자 후원은 콘텐츠의 시청자가 자신이 좋아하는 창작자, 배우 제작 관계자에게 원하는 양의 토큰과 메시지를 담아 후원할 수 있으면 개봉 전 선 시청할 수 있다.
큐레이션 상영관 확보 큐레이터는 무비블록토큰 스테이킹과 콘텐츠 시청 수에 기반한 레벨링 모델을 통해 영화를 큐레이션 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상영관을 임대할 수 있다. 상영관 수 확장을 위해 필요한 토큰의 양은 지수함수 형태로 증가하게 되며 최대 10개까지 확보할 수 있다. 상영관 수 제한과 레벨링 모델은 큐레이터가 큐레이션에 더 큰 노력을 기울이게 하여 소비자가 늘 새로운 양질의 콘텐츠를 경험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자본력으로 상영관을 독과점하는 것을 방지하고 큐레이터의 큐레이션 역량에 따라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려는 의미가 있다. 큐레이터는 레벨을 올리기 위해 무료 콘텐츠인 AVOD 모델과 수익성이 뛰어난 TVOD 모델을 적절하게 섞은 형태의 큐레이션을 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수익에 집중에 일부 TVOD 콘텐츠만 홍보하는 대신 다양한 콘텐츠를 홍보하게 된다.
사용자 참여에 대한 보상
(불법 콘텐츠 신고, 평점, 리뷰)
무비블록 내에서 시청자는 시청한 콘텐츠에 평점과 리뷰를 남기고 이에 대한 보상으로 무비블록토큰을 받게 된다. 또한, 건강한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저작권 위반 콘텐츠 등 불법 콘텐츠를 재단에 신고하고 무비블록토큰을 받을 수 있다.

 

깃허브

공식 웹사이트에서도 무비블록 오픈소스 경로가 제공되어 있지않아, 구글링으로 찾아보았는데, 전혀 개발을 안하고있다.

물론, 깃허브를 온전히 믿어서는 안된다.

 

isthiscoinascam

무비블록 스캠지수를 확인해보았다. 제대로 공개가 되지 않은 오픈소스 때문인지, 3.65점에 있다. 개별 점수 또한,

볼륨 말곤 볼게 없다.

 

무비블록 웹사이트

그나마 투자자로서 위안삼을 수 있는 면이 웹사이트를 상당히 그럴듯하게 구축해 놓은 모습이다.

 

무비블록 관련 기사 

매체활동도 나름 잘하고 있는 듯 하다.

 

김프가

4.47%의 김치프리미엄을 받고 있다. 

 

업비트

업비트의 주봉차트이다. 현재가 업비트에서 10.7원이며 시가총액 약 602억원 정도 이다. 올해 상승장에서 고점 53.4원 대비 5분의 1토막 났다. 한창 돈복사 된다는 장이었기에, 광기에 젖은 상승이 아니었나 싶다. 다시 고점 가격으로 회기하기 위해서는 개발진들의 제대로된 오픈소스공개가 필요하다고 본다. 코인판에서는 기술력이 거의 전부라고 보기 때문이다, 그 외에 가격상승은 유동성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