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상화폐_암호화폐_디지털화폐

퀀텀(QTUM)코인에 대해 알아보자

by Θ┌Θ?ⓣⓗ㈜ 2021. 6. 21.
반응형

퀀텀(Quantum)코인에 대해 알아보자

퀀텀(Quantum)은 중국의 이더리움으로 불리는 암호화폐이다. 큐텀의 창시자는 패트릭 다이(Patrick Dai)이다. 퀀텀(Quantum)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분산형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큐텀은 비트코인의 최대 약점인 느린 처리 속도를 보완하여 빠른 전송 속도를 보장하고, 이더리움의 스마트 계약 기능까지 추가하여 다양한 디앱(DApp) 적용이 가능한 플랫폼이다. 퀀텀(Quantum)은 지분증명(PoS)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스마트 계약 가치 전송 프로토콜에 기반해 있으며, 세계 최초로 암호화폐 인공위성을 발사하여 큰 관심을 받기도 했다. 

 

특징

퀀텀(Quantum)은 비트코인의 안정적인 블록체인 위에 이더리움의 스마트 계약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한다. 이것은 퀀텀(Quantum)이 비트코인의 블록체인 위에 스마트 계약을 가능케 하는 이더리움 가상머신(EVM; Ethereum Virtual Machine) 버전을 실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AAL
(Account Abstraction Layer)
 AAL은 비트코인의 결제 시스템인 UTXO과 이더리움 가상머신(EVM)을 결합하여 만들었다. AAL 덕분에 계약 개발자는 계약 작업과 관련된 UTXO 변환 세부 사항을 신경 쓸 필요가 없으며, 이더리움 가상머신 기능을 사용하여 기존의 이더리움 스마트 계약을 개발하고 호환을 할 수 있다.
UTXO 퀀텀은 비트코인의 결제 시스템인 UTXO를 사용한다. UTXO는 Unspent Transaction Outputs의 약자로서 미사용 트랜잭션 출력값을 말한다. 비트코인은 이더리움의 '계좌 잔고 모델'(Account Balance Model)과 달리 계정이나 잔고가 없고, 블록체인에 기록된 "소비되지 않은 출력값"을 통해 거래의 유효성을 검사하여 코인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x86 가상머신 이더리움의 한계
현재 스마트 계약 솔루션을 선도하고 있는 이더리움은 작업증명(PoW) 유효성 확인을 위해 많은 비용을 사용하고 있다. 또, 이더리움과 제휴를 맺은 솔리디티의 스마트 계약이 공식 검증을 위한 도구 상태 문제로 인해 해킹되었다. 이로 인해 약 5천만 달러의 손실이 발생해서 결국 이더리움은 두 개의 버전으로 하드포크되어,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클래식으로 분리되었다.


이더리움 문제 해결
퀀텀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생태계와 호환되며 이더리움 가상머신(EVM)과 호환성을 갖춘 다양한 비트코인을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더리움과는 달리 지속적으로 역호환도 가능하다. 원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결제를 처리하는 방식이 달라 호환이 어려운데, 퀀텀은 이를 해결해 하이브리드를 만드는 데에 성공한 것이다. 퀀텀은 이더리움의 작업증명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한 지분증명 합의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첫번째 블록체인이다.

 

 

개발현황

깃허브

퀀텀의 웹사이트에 오픈소스 경로가 개시 되어있다. 퀀텀의 깃허브의 저장소에는 119개의 프로젝트가 있으며,

현재시간기준 5분전에도 개발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퀀텀의 프로젝트 중 QTUM이라는 프로젝트의 커밋수와 이슈를 체크해 보았다.

27,678의 어마어마한 커밋수와 열린 이슈 24 해결된 이슈 286 을 보여주고 있다. 커밋수만 보아선 역대급이다.

 

IS THIS COIN A SCAM?

스캠지수를 확인해보았다 . 7.13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투자심리가 많이 위축되어있는 상황 또한 확인 할 수 있다.

 

플립사이드 크립토에서의 점수를 확인해 보았다. 723점으로 B등급에 랭크되어있다.

 

업비트

업비트에서의 퀀텀 주봉차트이다. 현재가 7310원이며, 시가총액 약 8300억원이다. 지난 2018년도 1월 97000원이라는

어마어마한 고점을 만들고 장기간 횡보했던 코인이다. 많은 투자자들이 지난 18년도의 고점을 보며 투자를 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바이낸스 기준 비트코인이 2.8k를 지지 횡보 해주면서 바닥을 다지는 모습이 나오길 바랄 뿐이다.

반응형

댓글